본문 바로가기

학위논문 연구계획서 양식

IronBee 2025. 4. 1.
반응형


  학위논문 연구계획서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 연구계획서는 학위논문을 위한 출발점이자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므로, 반드시 지도교수님의 조언과 승인을 거쳐야 하며, 실제 연구 중에는 계획에 유동적으로 조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는 학위논문 연구계획서를 보다 구체적으로 작성한 예시입니다. 전공 분야나 연구 주제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전반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은 틀을 기준으로 삼으면 좋습니다.

학위논문 연구계획서

 


학위논문 연구계획서


1. 연구 제목 (가제)

예: “자연 유래 성분을 활용한 피부 보습 화장품의 효과 분석”

  • 제목은 가제이므로, 추후 연구 진행에 따라 조정 가능함
  • 핵심 개념(자연 유래 성분, 보습, 화장품, 효과 분석)을 모두 포함할 것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 최근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로 자연 유래 성분을 활용한 화장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
  • 기존 연구는 일부 성분의 효능에 국한되어 있으며, 실제 보습 효과를 임상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부족
  •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 유래 성분을 활용한 화장품의 보습 효과를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하고자 함

(2) 연구 목적

  • 자연 유래 보습 성분(예: 히알루론산, 알로에베라, 꿀 추출물 등)의 피부 보습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
  • 해당 성분을 포함한 화장품의 실제 사용 후 변화(수분 유지도, 피부 장벽 강화 지표 등)를 측정하여 효과 비교

3. 선행 연구 고찰

  • Ahn et al. (2020): 알로에베라 성분의 항염 효과에 대한 연구 → 보습과는 직접적 연관 부족
  • Park et al. (2018): 천연 오일 기반 화장품의 소비자 만족도 조사 → 실험적 검증 부족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과 달리 과학적 지표 기반의 보습 효과 측정에 초점을 맞춘 차별성 보유

4. 연구 문제 및 가설

(1) 연구문제

  • 자연 유래 성분이 포함된 화장품이 피부 보습에 실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2) 가설 설정

  • 가설 1: 알로에베라 성분이 포함된 화장품을 사용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피부 수분 유지율이 높을 것이다.
  • 가설 2: 꿀 추출물 기반 화장품은 2주 사용 후 피부 장벽 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5.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 20~40대 여성 30명 (민감성/중성/건성 피부 유형 포함)
  •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비교

(2) 실험 도구

  • 수분 측정기(Corneometer)
  • 피부 장벽 측정 장비(TEWL 측정기)
  • 설문지 (피부 만족도, 자극 유무 등)

(3) 실험 절차

  1. 대상자 선정 및 피부 상태 사전 측정
  2. 2주간 지정된 화장품 사용
  3. 사용 전/후 피부 수분량, 피부 장벽 수치 비교
  4. 설문조사 병행 실시

6. 기대 효과

  • 자연 유래 성분 기반 화장품의 과학적 효능 검증
  • 건강한 소비 선택을 위한 정보 제공
  • 천연화장품 관련 산업/시장에 실질적인 데이터 기여 가능

7. 연구 일정(예시)

월 내용

1~2월 문헌조사 및 주제 구체화, 계획서 확정
3월 실험 설계 및 대상자 모집
4~5월 실험 실시
6월 자료 분석
7월 결과 정리 및 논문 초안 작성
8월 지도교수 피드백 및 수정
9월 최종 논문 제출

8. 참고 문헌 (예시)

주제에 따라 조정 가능하며, 각 문헌은 학술적 신뢰성이 있는 논문, 학회지, 전문서적 등을 기준으로 작성됩니다.

 

    김수연, 박진아 (2021). 「천연 성분 기반 화장품의 피부 보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제27권 제2호, pp. 55-67.

   이민정 (2020). 「알로에베라 추출물의 피부 개선 효과」, 대한피부과학회지, 제35권 제4호, pp. 203-214.

   정혜림, 윤지현 (2019). 「천연 보습제를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의 효과 분석」, 한국화장품과학회지, 제41권 제1호, pp. 31-44.

   Ahn, Y.S. et al. (2020).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Aloe vera extract. Journal of Natural Remedies.

   Park, H.J. et al. (2018). Consumer satisfaction with natural oil-based cosmetics. Korean Journal of Cosmetics Science.

  Kim, J. (2019). A study on the moisturizing effect of honey extract. Korean Journal of Skin and Cosmetology.

 

 


9. 기타 사항

  • 연구 진행 중 윤리적 고려사항(피험자 동의서, 개인 정보 보호 등) 철저히 준수 예정
  • 연구 결과는 학회 발표 및 논문 투고 계획

 

도서관

 

반응형

댓글